로 시작하는 두 글자의 단어: 430개

한 글자:1개 🌹두 글자: 430개 세 글자:1,576개 네 글자:1,848개 다섯 글자:791개 여섯 글자 이상:991개 모든 글자:5,637개

  • : (1)원수의 집. 또는 원수가 살고 있는 집. (2)휴가를 원함. (3)구하여 빌려 옴. (4)부여에서, 사출도를 각각 주관하던 사가(四加)의 하나. 통솔하는 부족의 토템이 개이었던 데서 유래한다. (5)시부모가 사는 집. 또는 남편의 집안. (6)항상 메스껍고 구토 증상이 있는 환자. (7)예전에 살던 집. (8)여러 대를 이어 온 집안. (9)한곳에 오랫동안 살아온 집안. (10)여러 사람이 입을 모아 칭송하여 노래함. (11)행복한 처지나 기쁜 마음 따위를 거리낌 없이 나타냄. 또는 그런 소리. (12)벼슬아치에게 녹봉 이외에 사사로 부리는 하인의 급료로 더 주던 돈이나 물건. (13)큰 길거리. (14)중국 전국 시대에 굴원이 지은 시. 초나라 민간에서 불리던 제사 노래를 바탕으로 하여 당시의 혼란한 정치 상황과 우국충정을 노래한 것으로, 모두 11편이 전한다.
  • : (1)입의 양쪽 구석. (2)잠깐 동안. 또는 짧은 시간. (3)낡은 껍질이라는 뜻으로, 시대에 맞지 않는 옛 제도나 관습 따위를 이르는 말. (4)몸의 껍질이라는 뜻으로, 온몸의 형체 또는 몸뚱이의 윤곽을 정신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5)공 모양의 얇은 껍질. 전기장이나 중력장 따위를 계산할 때, 주어진 조건이 구면 대칭성을 갖는 경우에 이 껍질을 가정하고 계산한다.
  • : (1)가야국 초기의 아홉 추장. 아도간(我刀干), 여도간(汝刀干), 피도간(彼刀干), 오도간(五刀干), 유수간(留水干), 유천간(留天干), 신천간(神天干), 오천간(五天干), 신귀간(神鬼干)을 이른다. (2)개의 간을 한방에서 이르는 말. 이질과 복통의 치료에 쓴다. (3)‘구간하다’의 어근. (4)어떤 지점과 다른 지점과의 사이. (5)수직선 위에서 두 실수 사이에 있는 모든 실수의 집합. (6)기구 체조에 쓰는 기구의 하나. 길이 1.5미터가량의 가는 막대기로, 양쪽 끝이 공 모양으로 되어 있다. (7)창과 비슷하며 날의 양 끝에 구부러진 날이 있는 의장(儀仗) 도구. (8)예전에 나온 책. (9)사람이나 동물의 몸에서 머리, 팔, 다리, 날개, 꼬리 등 딸린 것들을 제외한 가슴과 배 부분. (10)‘구관’의 방언
  • : (1)목이 마름. (2)가죽옷과 칡의 외올실로 짠 갈포 옷이라는 뜻으로, 겨울옷과 여름옷을 아울러 이르는 말. (3)가죽옷을 입는 겨울과 갈포 옷을 입는 여름을 지낸다는 뜻으로, 1년을 이르는 말. (4)가죽옷과 거친 털옷이라는 뜻으로, 겨울옷을 이르는 말. (5)검소한 옷을 이르는 말. (6)욕지기와 갈증을 아울러 이르는 말.
  • : (1)단 음식을 먹지 않았는데 입에서 단맛을 느끼는 증상. (2)입맛이 있어서 음식을 맛있게 먹는 일. (3)습열(濕熱)이 있거나 입안이 불결할 때, 입안이 헐고 터지는 병. (4)거울로 삼아 본받을 만한 모범. ⇒규범 표기는 ‘귀감’이다.
  • : (1)중국 장시성(江西省) 북부에 있는 하천에 있는 항구 도시. 양쯔강(揚子江)과 포양호(鄱陽湖)가 이어지는 곳에 있으며 차, 도자기 따위의 집산지로 유명하다. ⇒규범 표기는 ‘주장’이다. (2)입에서 목구멍에 이르는 빈 곳. 음식물을 섭취ㆍ소화하며, 발음 기관의 일부분이 된다. (3)땅이 비탈지고 조금 높은 곳. (4)불에 구운 생강을 이르는 말. (5)근육이 오그라들어 당기고 뻣뻣하여지는 증상. (6)옛 강토.
  • : (1)입의 천장을 이루는 부분으로 코안과 입안을 나누는 부분. (2)그릇에 뚜껑을 갖춤.
  • : (1)광산이나 탄광에서, 이미 채굴을 끝내고 폐기한 갱.
  • : (1)시체를 싣는 수레. (2)비둘기는 스스로 자기의 집을 짓지 않고 까치집에서 사는 데서 나온 말로, 아내가 남편의 집을 자기 집으로 삼는 것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3)남의 집을 빌려 삶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4)수채 물이 흐르는 작은 도랑. (5)낚시 끝의 안쪽에 있는, 거스러미처럼 되어 고기가 물면 빠지지 않게 만든 작은 갈고리. (6)오래된 집. (7)예전에 살던 집.
  • : (1)넓은 하늘. (2)입안이 건조해지는 증상.
  • : (1)돈이나 곡식, 물건 따위를 거저 달라고 빎. (2)‘굴건’의 방언
  • : (1)맡아서 다스리고 검사함. (2)벼슬아치의 근무 상태를 검열함. (3)문서 따위를 상세히 검토함. (4)말이나 행동을 함부로 하지 못하게 단속함.
  • : (1)‘규격’의 방언
  • : (1)‘구경’의 방언
  • : (1)격식을 갖춤. 또는 격식에 맞음. (2)‘공동격’의 북한어. (3)사람이나 짐승을 함부로 치고 때림. (4)옛날부터의 격식.
  • : (1)누에고치를 삼.
  • : (1)한문을 읽을 때 그 뜻이나 독송(讀誦)을 위하여 각 구절 아래에 달아 쓰던 문법적 요소를 통틀어 이르는 말. ‘隱(은, 는)’, ‘伊(이)’ 따위와 같이 한자를 쓰기도 하였지만, ‘亻(伊의 한 부)’, ‘厂(厓의 한 부)’ 따위와 같이 한자의 일부를 떼어 쓰기도 하였다. (2)여자의 머리치장. (3)구(球)를 한 평면으로 잘랐을 때 그 잘린 부분.
  • : (1)곡식, 나무, 풀 따위를 베는 데 쓰는 농기구. 시우쇠로 ‘ㄱ’ 자 모양으로 만들어 안쪽으로 날을 내고, 뒤 끝 슴베에 나무 자루를 박아 만든다. (2)끝이 뾰족하고 꼬부라진 물건. 흔히 쇠로 만들어 물건을 걸고 끌어당기는 데 쓴다.
  • : (1)흥미나 관심을 가지고 봄. (2)흥미나 관심을 일으키게 하는 대상. (3)직접 당하거나 맛봄. (4)사람이 죽은 뒤에 그 혼이 가서 산다고 하는 세상. ⇒규범 표기는 ‘구원’이다. (5)조선 시대에, 삼정승에 다음 가는 아홉 고관직. 의정부의 좌우참찬(左右參贊), 육조 판서(六曹判書), 한성부 판윤(漢城府判尹)을 이른다. (6)중국 고전인 아홉 가지의 경서. ≪주례≫, ≪의례≫, ≪예기≫, ≪좌전≫, ≪공양전≫, ≪곡량전≫, ≪주역≫, ≪시경≫, ≪서경≫을 이르기도 하고, ≪주역≫, ≪시경≫, ≪서경≫, ≪예기≫, ≪춘추≫, ≪효경≫, ≪논어≫, ≪맹자≫, ≪주례≫를 이르기도 한다. (7)원통 모양으로 된 물건의 아가리의 지름. (8)렌즈나 거울 따위의 유효 지름. (9)오경(五硬)의 하나. 어린아이의 혀가 뻣뻣하게 굳어져서 입을 잘 놀리지 못하는 증상이다. (10)마지막에 이르는 것. (11)가장 지극한 깨달음. (12)부모가 모두 살아 있음. 또는 그런 기쁨. (13)측량에서, 하나의 직선에 대하여 직각의 방향을 정할 때 쓰는 기구. (14)땅속줄기의 하나. 주축을 이루는 줄기의 밑부분이 녹말 따위의 양분을 많이 저장하여 살이 쪄서 둥근 알 모양을 이룬다. 감자, 토란, 쇠귀나물, 글라디올러스 따위에서 볼 수 있다. (15)잘 보이지 아니하는 이를 보려 할 때, 입안에 넣어 비추어 보는 거울. 손잡이가 달려 있다.
  • : (1)십계(十界) 중에서 불계(佛界)를 제외한, 지옥ㆍ아귀ㆍ축생ㆍ수라(修羅)ㆍ인간ㆍ천상ㆍ성문ㆍ연각ㆍ보살의 아홉 세계. (2)임금에게 직접 말로 아룀. (3)꼼꼼하게 따져서 검토하거나 참고함. (4)고증의 자료가 되는 서적. (5)비구와 비구니가 지켜야 할 계율. 비구에게는 250계, 비구니에게는 348계가 있다. (6)사실의 내용을 자세히 갖추어 신하가 임금에게 글로 아룀. (7)붙잡아 매어 둠. (8)생물 지리학에서 사용하는 지역 구분. 생물의 지리적 분포와 생태적 특성을 조사하여 그 특성에 따라 지역을 구분한다. (9)일정한 구간의 경계. (10)‘구역’의 북한어. (11)해면동물의 몸 안에 먹이와 호흡을 위하여 물을 받아들이는 관의 계통. (12)역적(逆賊)의 성명을 임금에게 아뢸 때에, 지금 문제가 된 죄 외에 옛날에 저지른 죄상을 적어 올리는 글.
  • : (1)으슥한 깊은 못. (2)‘직각 삼각형’의 전 용어. (3)끝까지 파고들어 연구함. (4)개를 통째로 진하게 고아 낸 국물. 보약으로 먹는다. (5)인간을 고통에서 건져 줌. (6)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아울러 이르는 말. (7)오래전부터의 연고(緣故). (8)전에 써 둔 원고(原稿). (9)알뿌리나 엽구의 높이.
  • : (1)아홉 가지의 곡식. 곧 수수, 옥수수, 조, 벼, 콩, 팥, 보리, 참밀, 깨를 이른다. (2)갈고리처럼 굽음. (3)예전부터 있는 음악의 곡조. (4)오래된 곡식. 또는 작년의 곡식.
  • : (1)호랑가시나무의 열매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2)10의 100제곱이 되는 수. 미국의 수학자 캐스너(Kasner, E.)가 전체 우주의 원자 수를 합산하여 추측해 낸 수치이다.
  • : (1)천자(天子)의 아홉 가지 선정(善政). 백성들 생활의 근본이 되는 화(火)ㆍ수(水)ㆍ목(木)ㆍ금(金)ㆍ토(土)와 곡물(穀物)의 육부(六府)를 잘 다스리고, 정덕(正德)ㆍ후생(厚生)ㆍ이용(利用)의 삼사(三事)를 정비하는 것을 이른다. (2)아득히 높고 먼 하늘. (3)지은 죄를 자백함. (4)‘구공하다’의 어근. (5)격구나 타구에 쓰는 공을 만드는 직공. (6)오래전에 이룬 공.
  • : (1)말을 잘못한 허물. (2)지나치게 말을 함. 또는 그 말. (3)입 냄새. (4)구과 식물의 열매. 낙우송과 식물, 측백나뭇과 식물, 소나뭇과 식물 따위의 열매로, 목질(木質)의 비늘 조각이 여러 겹으로 포개어져 둥글거나 원뿔형이며, 미숙할 때는 밀착되어 있으나 성숙함에 따라 벌어져 열린다. 솔방울, 잣송이 따위이다. (5)광물이 방사상으로 배열되어 이룬 구형체 또는 타원체. 화성암이나 퇴적암에서 관찰할 수 있다. (6)옛 보금자리.
  • : (1)중국 순임금 때의 아홉 가지 관명. 이에는 사공(司空), 후직(后稷), 사도(司徒), 사(士), 공공(共工), 우(虞), 질종(秩宗), 전악(典樂), 납언(納言)이 있다. 주(周)나라 이후의 구경(九卿)에 해당한다. (2)맡아서 다스림. (3)구(球)를 한 평면으로 잘랐을 때, 잘린 구의 구면(球面) 부분. 그 평면과 이 부분이 만난 자리에 생기는 원을 이 부분의 밑면, 밑면의 중심에서 수직인 직선과 이 부분 사이의 길이를 이 부분의 높이라고 한다. (4)앞서 그 자리에 있던 벼슬아치. (5)예전부터 내려오는 오래된 관례. (6)전에 세운 건물. (7)예전의 모양이나 경치.
  • : (1)바디를 끼우는 테. 홈이 있는 두 짝의 나무에 바디를 끼우고 양편 마구리에 바디집비녀를 꽂는다. (2)그전에 관을 묻은 무덤 구덩이.
  • : (1)육십사괘의 하나. 건괘(乾卦)와 손괘(巽卦)가 거듭한 것으로, 하늘과 바람을 상징한다.
  • : (1)오래 사귐. (2)두 종류 이상의 이본(異本)을 대조하여 틀린 데를 고침. (3)콘크리트나 돌 따위로 만든 지하의 물길. 운하, 둑, 도로 따위의 밑을 가로질러 물을 통하게 한다. (4)물이 빠지도록 철길 밑에 놓는 작은 다리. (5)살펴 조사함. (6)오래전부터 사귄 교분. 또는 전부터 교분이 있는 사람. (7)로마 가톨릭교와 그리스 정교회를 신교(新敎)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8)새로 생긴 다리를 상대하여 이미 있는 다리를 이르는 말.
  • : (1)닭이나 비둘기 따위가 우는 소리. (2)닭이나 비둘기 따위를 부를 때 내는 소리. (3)곱셈에 쓰는 기초 공식. 1에서 9까지의 각 수를 두 수끼리 서로 곱하여 그 값을 나타낸다. (4)구구법으로 셈을 하는 일. (5)흙을 사용하여 단지 모양으로 구워 만든, 아홉 개의 구로 된 옛 타악기. (6)천자(天子)의 도읍 안에 있는 아홉 개의 큰길. (7)천자가 있는 도읍을 이르던 말. (8)말로 나타냄. (9)‘구구하다’의 어근. (10)도움을 구함. (11)옛 것을 구함. (12)‘구구하다’의 어근. (13)컴퍼스와 곱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14)사물의 법칙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15)물건을 구하여 삼. (16)지조가 없는 모양. (17)놀라 허둥대며 잘 못 보는 모양. (18)바삐 두리번거리는 모양. (19)눈을 동그랗게 뜨고 똑바로 보는 모양. (20)예절을 잘 지키는 모양. (21)‘타산’의 방언 (22)‘의량’의 방언 (23)‘이매패류’를 제외한 연체동물의 소화관의 끝부분이 부풀어서 근육질 덩이 모양을 이루는 부분.
  • : (1)중국 전국 시대에 활약하였던 아홉 나라. 제(齊), 초(楚), 연(燕), 조(趙), 한(韓), 위(魏), 송(宋), 위(衛), 중산(中山)을 이른다. (2)중국 고대에 전국을 나눈 9개의 주. 요순시대(堯舜時代)와 하(夏)나라 때에는 기(冀)ㆍ연(兗)ㆍ청(靑)ㆍ서(徐)ㆍ형(荊)ㆍ양(揚)ㆍ예(豫)ㆍ양(梁)ㆍ옹(雍)이며, 은(殷)나라 때에는 기ㆍ예ㆍ옹ㆍ양ㆍ형ㆍ연ㆍ서ㆍ유(幽)ㆍ영(營)이고, 주(周)나라 때에는 양ㆍ형ㆍ예ㆍ청ㆍ연ㆍ옹ㆍ유ㆍ기ㆍ병(幷)이다. (3)위태로운 나라를 구함. (4)역사가 오래된 나라. (5)옛 조국. (6)사방으로부터 적의 침공을 받기 쉬운 지세(地勢)의 곳.
  • : (1)황제의 육군(六軍)과 제후의 삼군(三軍)을 통틀어 이르는 말. (2)황제의 군대. (3)전에 섬기던 임금. (4)어떤 일에 오래 종사하여 그 일에 익숙한 사람.
  • : (1)오랫동안 뜻을 굽히고 있음. (2)작물을 심거나 심층 시비 등을 하기 위해 토지에 골을 파는 작업.
  • : (1)아홉 방위의 자리. 낙서(洛書)에 응한 구성(九星)에 중궁(中宮)과 팔괘(八卦)를 팔문(八門)에 배합한 것이다. (2)오래된 궁전. (3)옛 임금의 대군, 왕자군, 공주, 옹주의 궁을 신궁(新宮)에 상대하여 이르던 말.
  • : (1)일정한 금액을 일정한 날짜와 장소에서 치를 것을 약속하거나 제삼자에게 그 지급을 위탁하는 유가 증권. 약속 어음과 환어음이 있다. (2)이전 소유주의 소유권을 증명하는 문서. 부동산을 매매할 때, 매도 증서에 첨부한다. (3)전에 발행한 양도 문서.
  • : (1)오랫동안 빠지거나 비어 있음.
  • : (1)아홉 방향으로 통하는 길이라는 뜻으로, 사방으로 통하는 큰길을 이르는 말. (2)사람의 몸에 있는 아홉 개의 구멍. 귀, 눈, 코의 여섯 구멍과 입, 요도, 항문의 세 구멍을 통틀어 이른다. (3)전에 시행하였던 규칙. 또는 전부터 있어 온 규칙.
  • : (1)둥근 모양으로 생긴 세균을 통틀어 이르는 말. 그 배열에 따라 쌍구균, 포도상 구균, 연쇄상 구균 따위로 나눈다.
  • : (1)운향과의 낙엽 활엽 교목. 높이는 3미터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쪽 겹잎인데 작은 잎에 톱니가 있다. 5월에 흰 꽃이 가지 끝이나 잎겨드랑이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공 모양의 장과(漿果)로 가을에 노랗게 익는다. 열매는 약용하고 울타리용으로 재배한다. 중국이 원산지로 우리나라 중부 이남에 분포한다.
  • : (1)서로 원수처럼 지내는 사이. (2)사물의 진행이나 발전 과정에서 마지막 단계나 상태. (3)어떤 구역의 끝. (4)한 나라의 안. 또는 한 나라 전체. (5)인생이나 세월이 덧없이 짧음을 이르는 말. (6)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연극. 이인직의 신소설 ≪은세계≫가 상연된 1908년 이전의 가면극, 인형극, 창극 따위를 이른다. (7)성게류의 체표면에서 관찰되는, 석회질 성분의 막대 모양 자루의 끝에 구형물이 실려 있는 작은 구조물.
  • : (1)한 가지 일에 오랫동안 힘씀. (2)한 직장에 오랫동안 근무함. (3)부지런히 일함. (4)지하에 있는 식물체의 일부인 뿌리나 줄기 또는 잎 따위가 달걀 모양으로 비대하여 양분을 저장한 것. 달리아의 덩이뿌리, 백합의 비늘줄기, 글라디올러스의 알줄기 따위가 있다.
  • : (1)한시(漢詩) 따위에서 두 마디가 한 덩이씩 되게 지은 글. 그 한 덩이를 ‘구(句)’라 하고 각 마디를 ‘짝’이라 하는데, 앞마디를 안짝, 뒷마디를 바깥짝이라고 한다. ⇒규범 표기는 ‘귀글’이다.
  • : (1)아홉 겹의 금문(禁門)이라는 뜻으로, 대궐을 이르는 말. (2)전구의 소켓에 있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부분. (3)아시아나 태평양의 여러 섬에서 사용하는 원시적인 소형 악기의 하나. 대나무 가운데를 가늘게 쪼개어 리드를 끼워 입에 물고 연주하는데, 쇠로 만든 것도 있다. (4)입을 꼭 다물고 벌리지 못하는 중풍 증상. (5)피고인 또는 피의자를 구치소나 교도소 따위에 가두어 신체의 자유를 구속하는 강제 처분. 형이 확정되지 않은 사람에 대하여 집행하며, 형이 확정되면 구금 일수를 계산하여 형을 집행한 것과 동일하게 취급한다. (6)임펠러 측판의 안쪽 둘레부에 고정시켜서 흡입 기체를 블레이드로 유도함과 더불어 블레이드에서 나온 기체가 흡입 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막는 링.
  • : (1)말주변이 좋음. (2)경련이 일어나 팔다리를 굽혔다 폈다 하지 못하는 증세. (3)위급한 상황에서 구하여 냄. (4)병이 위급할 때 우선 목숨을 구하기 위한 처치를 함.
  • : (1)‘구기’의 옛말.
  • : (1)술이나 기름, 죽 따위를 풀 때에 쓰는 기구. 자루가 국자보다 짧고, 바닥이 오목하다. (2)술이나 기름, 죽 따위를 ‘구기’에 담아 그 분량을 세는 단위. (3)‘궁리’의 북한어. (4)기의 변화에 따라 심신이 달라지는 아홉 가지 상태. 기쁨, 슬픔, 노여움, 놀람, 두려움, 그리움, 피로, 한랭, 열을 이른다. (5)중국 주나라 때에 수도를 중심으로 거리에 따라서 나눈 행정 구획. 왕성(王城)으로부터 사방 천 리를 왕기(王畿)라 하고, 그 다음부터 오백 리마다 차례로 후복(侯服), 전복(甸服), 남복(男服), 채복(采服), 위복(衛服), 만복(蠻服), 이복(夷服), 진복(鎭服), 번복(藩服)의 아홉 구역으로 나누었다. (6)말하는 태도나 버릇. (7)무척추동물, 특히 절지동물의 입 부분을 구성하여 섭식(攝食)이나 저작(咀嚼)에 관계하는 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 곤충류는 윗입술ㆍ큰턱ㆍ작은턱ㆍ아랫입술ㆍ하인두로 이루어져 있으며, 식성에 따라서 깨무는 형ㆍ빠는 형 따위로 구별된다. (8)신라의 장군(?~?). 문무왕 8년(668)에 신라가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를 칠 때 큰 공을 세웠다. (9)좋지 않게 여기어 피하거나 꺼림. (10)가짓과의 낙엽 활엽 관목. 줄기는 높이가 4미터 정도이며, 흔히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 뾰족하다. 여름에 자주색 꽃이 꽃자루 끝에 피고, 열매는 장과(漿果)로 가을에 붉게 익는다. 어린잎은 식용하고 열매는 ‘구기자’라 하여 약용하고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들이나 길가에 자라는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11)격구에서, 구가 놓여 있는 곳을 표시하는 기. (12)공을 사용하는 운동 경기. 야구, 축구, 배구, 탁구 따위가 있다. (13)먹은 것을 게울 듯한 메스꺼운 기분. (14)옛날의 기록. (15)옛 집터. (16)옛 도읍터.
  • : (1)구겨져서 생긴 잔금. (2)표정이나 성격에 서려 있는 그늘지고 뒤틀린 모습. (3)말이나 글이 이치에 닿지 않아 막히는 모양.
  • : (1)‘구깃거리다’의 어근.
  • : (1)‘진흙’의 방언
  • : (1)‘진흙’의 방언
  • : (1)죄인을 잡음. (2)고려ㆍ조선 시대에, 세밑에 궁중에서 역귀(疫鬼)를 쫓던 일. 또는 그런 의식. 역귀로 분장한 사람을 방상시가 쫓는 연극으로 이루어졌다. (3)해라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흔히 감탄의 뜻이 수반된다.
  • : (1)석가모니가 이 세상에 있을 때 받은 아홉 가지 고난. 곧 음탕한 여인 손타리(孫陀利)에게 비방을 받은 것, 전차(旃遮) 바라문 여인에게 비방을 받은 것, 제바달다(提婆達多)에게 엄지발가락을 다친 것, 나무에 다리를 찔린 것, 비루리(毘樓璃)왕 때문에 두통을 앓은 것, 아기달다바라문(阿耆達多婆羅門) 때문에 마맥(馬麥)을 먹은 것, 찬 바람으로 등을 앓은 것, 도를 이루기 전에 6년 동안 고행한 것, 바라문 마을에서 먹을 것을 구걸하였으나 얻지 못한 것을 이른다. (2)재난을 구제함.
  • : (1)터무니없는 말을 만들어 냄.
  • : (1)속귀의 안뜰 막미로에 있는 두 개의 주머니 중 더 작은 것. 달팽이관과 연결되어 있다.
  • : (1)오래 견딤. (2)입의 안. (3)일정한 구역의 안. (4)큰 건물이나 시설 또는 부지(敷地)의 안. (5)‘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그네’의 방언 (2)‘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아주 오랜 세월. (2)지난해를 새해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
  • : (1)‘구멍’의 방언 (2)‘구유’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서로 눈짓이나 말 따위로 몰래 연락함. 또는 그런 신호. ⇒규범 표기는 ‘군호’이다. (2)샤를 프랑수아 구노, 프랑스의 작곡가(1818~1893). 가극 <파우스트>, <로미오와 줄리엣> 따위로 프랑스 가극에 신국면을 전개하였다. 화려하면서도 감미로운 선율이 특징이다. 작품에 가곡 <아베 마리아>가 있다.
  • : (1)‘구멍’의 방언
  • : (1)석가모니가 이 세상에 있을 때 받은 아홉 가지 고난. 곧 음탕한 여인 손타리(孫陀利)에게 비방을 받은 것, 전차(旃遮) 바라문 여인에게 비방을 받은 것, 제바달다(提婆達多)에게 엄지발가락을 다친 것, 나무에 다리를 찔린 것, 비루리(毘樓璃)왕 때문에 두통을 앓은 것, 아기달다바라문(阿耆達多婆羅門) 때문에 마맥(馬麥)을 먹은 것, 찬 바람으로 등을 앓은 것, 도를 이루기 전에 6년 동안 고행한 것, 바라문 마을에서 먹을 것을 구걸하였으나 얻지 못한 것을 이른다.
  • : (1)‘구멍’의 방언
  • : (1)‘그네’의 방언
  • : (1)‘그늘’의 방언 (2)‘구눌하다’의 어근. (3)‘그네’의 방언
  • : (1)‘군웅’의 변한말. (2)‘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그네’의 방언 (2)‘그늘’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어떤 일에 필요 이상으로 마음을 쓰거나 얽매임. (2)‘그네’의 방언 (3)일본의 나라 시대에서 메이지 시대 초기까지 사용된 행정 구역 단위. 율령제 아래에서 지방관이 파견되던 행정 단위로, 대(大)ㆍ상(上)ㆍ중(中)ㆍ하(下)의 4등급으로 구분하였다.
  • : (1)잇몸이 헐어서 피고름이 나오는 증상. (2)‘구멍’의 방언
  • : (1)‘구멍’의 방언
  • : (1)‘굽다’의 방언
  • : (1)구천(九天)의 기(氣)를 받아서 이루어진 사람의 몸. (2)도가(道家), 신선의 술법을 믿는 사람이 연명 장수(延命長壽)를 구하기 위하여 단사(丹沙)를 개어서 만든 선약(仙藥). (3)신선이 만든다는 아홉 가지의 환약. 신단(神丹), 단화(丹華), 신부(神符), 연단(煉丹) 따위가 있다. (4)토지의 구획. (5)야구, 축구, 농구 따위를 사업으로 하는 단체. (6)갈고리로 끌어내어 끊음. (7)‘구절’의 옛말.
  • : (1)직접 말하여 전달함.
  • : (1)말하는 솜씨. (2)어떤 사실에 관하여, 또는 있지 않은 일을 사실처럼 꾸며 재미있게 하는 말. (3)개의 쓸개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 고치기 힘든 종기를 치료하거나 시력 약화에 쓴다. (4)인도의 석가(釋迦) 종족의 성(姓). (5)도(道)를 이루기 전의 석가모니를 이르는 말.
  • : (1)말로 대답함. (2)‘구두시험’의 북한어. (3)전부터 있던 논. (4)‘무논’의 방언
  • : (1)임무나 사무를 맡음. (2)중국 송나라 때, 대도독부ㆍ유수(留守)ㆍ선무(宣撫)ㆍ전운(轉運) 따위에 두었던 벼슬. (3)‘유길준’의 호. (4)일제 강점기에, 각 지구에 설치한 지하 공산당 조직. (5)정당이 좋지 않은 상태로 되는 것을 막음.
  • : (1)범종의 표면 밑부분에 띠처럼 두른 무늬. (2)구(球)를 평행한 두 평면으로 잘랐을 때, 그 사이에 낀 구면(球面)의 부분. 그 두 평면과 구가 교차하는 원을 그 부분의 밑면이라고 하며, 밑면 간의 거리를 그 부분의 높이라고 한다. (3)등잔을 받치기 위하여 살대 같은 것으로 얽어 만든 물건. 주로 삼국 시대 무덤에서 나왔다. (4)지난 시대.
  • : (1)‘구덩이’의 방언
  • : (1)‘구덩이’의 방언 (2)‘바구니’의 방언 (3)구공(九功)의 덕(德). 수(水), 화(火), 금(金), 목(木), 토(土), 곡(穀), 정덕(正德), 이용(利用), 후생(厚生)의 덕을 이른다. (4)아홉 가지의 덕. 충(忠), 신(信), 경(敬), 강(剛), 유(柔), 화(和), 고(固), 정(貞), 순(順)을 이른다. (5)말에 나타나는 어질고 너그러움. (6)성실하고 진실한 말씨. (7)덕을 갖춤. (8)오래전에 베푼 덕. (9)예전에, 나이가 많은 대신을 이르던 말. (10)예전에, 죽은 대신을 이르던 말. (11)‘구멍’의 방언
  • : (1)구차한 생활이나 처지.
  • : (1)‘구덩이’의 방언 (2)‘광주리’의 방언
  • : (1)‘군데’의 방언 (2)‘구덩이’의 방언
  • : (1)옛날 중국 학문의 아홉 가지 길. 도덕, 음양, 법령, 천관(天官), 신징(神徵), 기예(伎藝), 인정(人情), 계기(械器), 처병(處兵)을 이른다. (2)달이 운행하는 궤도. (3)독서삼도의 하나. 곧 글을 읽을 때 입으로 다른 말을 하지 않고 책에 집중하는 일을 이른다. (4)진리나 종교적인 깨달음의 경지를 구함. (5)불법의 정도(正道)를 구함. (6)개를 잡음. 또는 그 일을 하는 사람. (7)개 흉내를 내면서 물건을 훔치는 도둑. (8)국가의 강제력을 수반하는 사회 규범. 국가 및 공공 기관이 제정한 법률, 명령, 규칙, 조례 따위이다. (9)기거동작의 규율 법칙. (10)일부 공산 국가에서, 자치구의 정치ㆍ문화 따위의 중심이 되는 도시. 신장 웨이우얼 자치구(新疆維吾爾自治區)의 우루무치(烏魯木齊), 네이멍구 자치구(內蒙古自治區)의 후허하오터(呼和浩特) 따위를 이른다. (11)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따위의 나쁜 짓을 하는 사람. (12)그림에서 모양, 색깔, 위치 따위의 짜임새. (13)죄인의 목을 베는 칼. (14)예전의 도읍. (15)예전의 도로. (16)야구를 좋아하는 사람이 특히 많은 도시. (17)배아 뇌의 배쪽 중간선에 있고 아래턱뼈활로 둘러싸인 외배엽의 오목한 부분. 볼 인두막이 사라지면 ‘앞창자’와 연결되어 입이 된다.
  • : (1)개천과 수렁을 아울러 이르는 말. (2)책이나 신문, 잡지 따위를 구입하여 읽음.
  • : (1)‘구들’의 방언
  • : (1)겨울철의 약 90일 동안을 이르는 말. (2)바로 전에 지나간 겨울. (3)동력을 가하여 움직임.
  • : (1)예전에, 시장에서 곡식을 되던 되.
  • : (1)주로 가죽을 재료로 하여 만든 서양식 신. (2)돈이나 재물 따위를 쓰는 데에 몹시 인색한 사람. (3)마주 대하여 입으로 하는 말. (4)글을 쓸 때 문장 부호를 쓰는 방법. (5)맞대어 놓고 언짢게 꾸짖거나 비꼬아 꾸짖는 일.
  • : (1)‘구둔하다’의 어근.
  • : (1)‘구들’의 방언 (2)‘방’의 방언
  • : (1)‘먼지’의 방언
2 3 4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141개) : 가, 각, 간, 갇, 갈, 갉, 갏, 감, 갑, 값, 갓, 강, 갖, 갗, 개, 객, 갠, 갤, 갬, 갭, 갱, 갸, 갹, 걈, 걍, 걔, 걘, 거, 건, 걸, 검, 겁, 겂, 것, 겄, 겇, 겉, 게, 겍, 겐, 겔, 겝, 겟, 겠, 겡, 겥, 겨, 격, 견, 겯, 결, 겸, 겹, 겻, 경, 겿, 곁, 계, 고, 곡, 곤, 곧, 골, 곬, 곰, 곱, 곳, 공, 곶, 곷, 곻, 과, 곽, 관, 괄, 괌, 광, 괘, 괙, 괜, 괠, 괨, 괭, 괴, 괵, 괼, 굄, 굉, 교, 굠, 굥, 구, 국, 굮, 군, 굳, 굴, 굼, 굽, 굿 ...

실전 끝말 잇기

구로 끝나는 단어 (4,479개) : 형질 모구, 갈구, 꺽더구, 바라구, 조수 보호구, 차임의 증감 청구, 질짱구, 심장구, 자동화 설계 도구, 좌구, 벗낭구, 몰리브데넘 구구, 간첩주구, 기술 적용 연구, 카리브 아구, 섬유 감독 기구, 콧방구, 절대 빈곤 가구, 환기구, 왕구, 기공구, 학교구, 투명 전구, 주사구, 겸업 종사 농업 인구, 사세구, 수공구, 장애인 축구, 에티오피아구, 거치상 적혈구 ...
구로 끝나는 단어는 4,479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구로 시작하는 두 글자 단어는 430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